반응형
세실리아 M. 오펀: 무엇이 "좋은 대학"을 만들고, 왜 그것이 중요한가?
왜 "좋은 대학"은 종종 가장 적은 수의 학생을 받아들이는 대학일까요? 교육자 Cecilia M. Orphan은 사회가 매우 거부적인 (그리고 비싼) 대학에 집착하는 것의 해로운 결과를 폭로하면서, 우리에게
www.ted.com
-①여러분이 생각하는 '명문대'-
여러분 떠올려 보세요. 미국에서 가장 좋은 대학, 정말 가고 싶어 하는 대학을요. 여러분의 인생을 완전히 바꿔 놓을 대학을 말이에요. 정하셨나요?
제가 지금 당장 여러분에게 가서 100분에게 어떤 대학을 선택했는지 물어본다면
같은 대학 이름들을 계속해서 듣게 될 것입니다.
그 이유는 우리 고등 교육에 큰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대학이 보다 공정하고, 보다 변혁적이며, 보다 접근하기 쉽기를 원한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대부분이 결코 들어갈 수 없는 극소수의 대학들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똑똑하지 않기 때문이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 모두를 위한 충분한 자리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 대학들은 의도적으로 받아들이는 학생 수의 한도를 정합니다.
이것이 바로 대학 입학 공정성의 옹호자인 아킬 벨로가 이 대학들을 다른 이름으로 부르는 이유입니다.
그들은 명문 대학이 아닙니다. 그들은 매우 불합격시키는 대학입니다.
하버드, 스탠퍼드, 예일, 프린스턴, MIT 같은 대학입니다.
저는 이 대학들이 안 좋은 대학이라고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들은 분명히 주요 연구 기관입니다.
그러나 우리의 문화적 집착, 매우 불합격시키는 제한된 그룹의 대학에 대한 문화적 집착은
중대한 결과를 초래합니다.
-②우리의 잘못된 인식이 만든 슬픈 결과-
저는 직계 가족 중 대학을 졸업한 첫 번째 사람입니다.
그리고 포틀랜드 주립대학교, 오리건 주 포틀랜드에 있는 지역 공립 대학교인 포틀랜드 주립대는
제 인생을 진정으로 바꿔 놓았습니다.
하지만 오랫동안 어떤 관계망 행사에서 누군가 나에게 어디 대학을 나왔느냐고 물었을 때
저는 그들이 나의 지적 능력과 포부를 재단할까 봐 걱정했습니다.
...
지역 공립대학교, 줄여서 RPU는 매우 불합격시키는 대학과는 정반대입니다.
그들의 이름이 어느 지역 사회에 기여하는지 말해주고 있어서 그들을 분간할 수 있습니다.
웨스턴 콜로라도 대학교, 노던 켄터키 대학교, 이스턴 워싱턴 대학교,
뉴욕에서는 SUNY (뉴욕주립대학교)와 CUNY (뉴욕시립대학교)입니다.
캘리포니아에서 그들은 23개의 CSU캠퍼스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입니다.
중국에서는 “보통대학“, 독일에서는 “전문학교“,
캐나다와 이탈리아에서는 “주립대학“이라고 불립니다.
이 대학들은 당신이 병원에 갈 때 여러분을 돌봐 줄 간호사를 훈련시키는 대학,
자녀를 교육하는 선생님과 여러분의 고향에서 일자리를 창출하는 소상공인을 양성하는 대학입니다.
지역 공립대학교 즉 RPU는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모든 혹은 거의 모든 지원자를 받아들이는 것을 말입니다.
사람들은 간혹 지역 공립대학교에 대해 부정적인 말을 합니다. “13학년”이라고 부르거나,
“아무나 들어갈 수 있다”라고 그것이 마치 안 좋은 것처럼 말하면서 말이죠.
또는 그 대학들은 진짜 대학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대학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포함하고
동일한 수준의 학문적 우수성으로 끌어올리느냐에 따라 평가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배제하느냐가 아니라요?
지역 사회가 직면한 시급한 과제들을 얼마나 잘 다루는지에 따라서요.
-여러분은 이 여성의 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여러분이 대학 문제 때문에 누군가에게 무시당할 것 같다면
동영상을 통해 이 여성의 조언을 들어보세요!
반응형
'영상을 보면서 > T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 민주화를 이뤄낼 무선 에너지 알아보기 (25) | 2023.07.06 |
---|---|
유통기한이 불러온 음식물 쓰레기 대참사 (43) | 2023.06.24 |
아프리카의 미래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높은 잠재력, 그러나... (14) | 2023.06.11 |
동물원과 멸종 위기 동물 이야기 (12) | 2023.05.30 |
팝콘은 어떻게 영화관 단골 메뉴가 되었을까?(feat.대공황) (18) | 2023.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