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을 읽으면서/2023년

왜 아침 1시간인가?-아침 1시간 노트(인생을 바꾸는 시간 전략)

by 호나타 2023. 3. 3.
반응형

 

1. 아침 1시간=야근 3시간

 
 
 
 
 
 
 
 
 
 
 
 
-뇌가 가장 집중력이 좋은 시간은 깨어난 후 2~3시간입니다. 왜냐고요?
하루 종일 일에 몰두하다보면 저녁에 정신을 못 차리듯이
우리 뇌도 하루동안 에너지를 소비하다보면 피로가 누적됩니다.
그렇게 쏟아지는 잠과 사투를 벌이는 것이죠.
물론 밤이 되면 오히려 눈이 초롱초롱해지는 야행성 인간들도 간혹 있긴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야행성 인간이 아니죠.
 
-또한 밤이 될수록 인터넷 때문에 집중력을 잃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뇌의 피로가 쌓이다 보니 인터넷에서 검색 등으로 정보를 멍하니 보다보면 마음이 편해지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요즘은 인터넷 사이트에서 정보를 검색할 때 관련 검색어나 정보 등을 추가로 추천하는 기능 때문에
(ex:유튜브의 알고리즘)
더욱 위험합니다.
 
-따라서 저자는 '아침 1시간=야근 3시간'이라며 밤늦게까지 야근하는 것보다 적절한 시간에 취침하고 
머리 맑은 새벽에 일어나서 일을 처리하는 것이 더 좋다고 말합니다.
 

2.오전 10시, 정신없어지는 시간의 시작

 
 
 
 
 
 
 
 
 
 
 
끊임없이 울려대는 전화, 끝이 없는 서류,
사람들로 꽉 찬 지하철, 상사의 부름...
그 외에 여러분들을 정신없게 만들 수많은 불청객들...
오전 10시 이전에는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경우가 없죠.
이 정적이 흐르는 아침 시간만큼 중요한 일을 빠르게,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간은 없습니다.
따라서 아침 시간에 에너지가 많이 드는 일을 처리하면 
나머지 일도 조바심 내면서 하지 않아도 됩니다.
 

3.왜 하필이면 1시간?

그런데 이런 생각이 들 것입니다.
'뇌가 가장 집중력이 좋은 시간은 2~3시간인데, 왜 1시간으로 제한하지?'
첫 번째로,
2~3시간으로 시간을 맞추면 1시간보다
시간적 여유가 생기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서 집중력이 약해집니다.
두 번째로,
지나치게 긴 시간 동안 아침 일에 몰두할 경우
미련을 버리지 못해 그 뒤에 있는 나머지 일들을 제대로 해낼 가능성이 낮아지고,
때문에 1시간만 딱 집중하고 
일을 잘 마치지 못해도 미련을 버리고 다른 일에 정신을 집중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4. 책의 이모저모

-7장의 경우 업종,직종별로 4개로 분류(영업직, 사무직, 기술직, 자영업 및 경영자)해서
각자에 맞게 아침 1시간 노트를 활용하는 예시를 보여줍니다. 
유용하게 참고 할 수 있으니 읽으시는 것을 추천바랍니다.
 
-아침 1시간 노트에는 자신의 꿈과 목표를 주제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서 꿈은 '실현 가능성이 낮지만 없는 것은 아닌 원대한 목표',
목표는 '하는 방법이나 노력에 따라 실현 가능성이 높아지는 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아침형 인간'이 되기 위한 다양한 추천법도 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책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