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흔들리지 않는 투자를 위한 경제지표 9(하이엠)④-유가로 우리는 무엇을 알 수 있을까?

by 호나타 2022. 9. 17.
반응형
 

흔들리지 않는 투자를 위한 경제지표 9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목차

1.인플레이션이란?

2.인플레이션을 이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3.미래에 인플레이션은 갈수록 약화된다고?

 

 

 

1.인플레이션(Inflation)이란?

-한마디로 물가가 올라가는 것. 물가는 투자의 판을 결정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물가 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인 CPI와 개인소비지출물가지수인 PCE가 있는데,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판단할 때 PCE,

특히 PCE에서 에너지와 식품을 반영하지 않은 코어 PCE를 사용해요.

https://kr.investing.com/economic-calendar/pce-price-index-906-이 사이트에서 PCE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전년 대비)

개인소비지출 물가 지수 (YoY) 같은 주요 경제 이벤트 및 글로벌 마켓에 미치는 그 영향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세요.

kr.investing.com

 

 

2.인플레이션을 이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인플레이션과 관련해서 가장 중요한 자산은 원유와 금이며,

이들 중 인플레이션을 결정하는 요소는 원유 가격, 유가입니다.

 

 

 

-5년 후의 기대 인플레이션 지표인 '5년 포워드 인플레이션 지표'와 유가의 변동률은 매우 흡사한데요.

따라서 유가가 높으면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인플레이션도 실제로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을 예상하려면 먼저 유가의 흐름을 보는 것이 적절합니다.

파란색이 5년 포워드 인플레이션 지표, 빨간색이 서부 텍사스산 원유 가격

 

 

 

-여기서 잠깐. 유가는 어떻게 결정될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세 개의 단어에 주목해야 합니다. 공급, 백악관, 연준

 

1.수요과 공급

-유가를 결정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특히 공급이 중요합니다.

1~2차 오일 쇼크도 공급이 큰 영향을 주었는데요. 

1일당 원유생산량이 미국 1,200만 배럴이고 러시아와 사우디가 1,000만 배럴로

전 세계 원유의 30%가 이 세 개의 나라에서 생산됩니다.

때문에 세 개의 나라 중 한 개의 나라라도 문제가 생기면 유가가 10%이상 급등할 수 있습니다.

 

 

1973년 석유 위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1차 오일 위기를 소개하는 위키백과 문서

 

2.백악관

-미국 내 원유 생산을 늘리거나, 미국이 보유한 전략 비축유를 시장에 방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올해 9월 12일 기준으로 4억 3410만 배럴이 비축되어 있다네요.

 

3.연준

-연준이 부양정책을 펴면, 경기가 좋아지고 원유 수요가 늘어나 유가가 높아집니다.

실제로 코로나 당시 30달러 수준까지 떨어진 유가가 연준의 과감한 부양 정책으로 

떨어졌던 수요가 급증하면서 50달러에서 80달러까지도 회복되었다고 합니다.

 

국제유가, 수요 우려에 1%대 하락 - 연합인포맥스

*그림*[출처: 연합뉴스 자료 사진](서울=연합인포맥스) 문정현 기자 = 국제유가는 수요 약화 우려에 하락했다.CNBC에 따르면 12일 오전 10시 47분(현지시간) 10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

news.einfomax.co.kr

-연준의 금리 인상 등의 이유로 원유 수요에 타격이 생길 것이라는 뉴스 기사

 

 

-정리하면,

1.사우디,러시아의 생산량

2.백악관의 정책

3.연준의 행동

이 세 가지를 지켜봐야 합니다. 그런데...

 

3.인플레이션은 갈수록 약화된다고?

 

-세계적으로 약화되는 성장률

글로벌 성장세 측면에서 선진국들은 1990년대부터 둔화되었고,

중국같은 나라들도 요즘 성장이 둔화되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강조하는 내용이 금리,성장,물가는 함께 움직인다는 것인데,

이렇게 되면 당연히 성장이 둔화되니 물가도 둔화될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China GDP Annual Growth Rate - 2022 Data - 2023 Forecast - 1989-2021 Historical

The Chinese economy advanced 0.4% yoy in Q2 of 2022, missing market consensus of 1.0% and slowing sharply from a 4.8% growth in Q1. The latest figure was the softest pace of expansion since a contraction in Q1 2020, when the initial coronavirus outbreak em

tradingeconomics.com

-중국의 역대 gdp성장률

 

-그린 디플레이션:석유 의존도의 하락

세계적으로 태양광, 풍력 등의 재생 에너지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석유 수요도 점점 하락세 조짐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유가가 상승하면 인플레이션도 상승하고 

반대로 유가가 하락하면 인플레이션도 둔화된다고 했죠?

때문에 유가가 낮아져서 인플레이션에도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기술의 발전

인공지능과 자동화의 확산으로 

가면 갈수록 더 적은 노동과 자원으로 더 많은 생산이 실현되고 있습니다.

기술 혁신이 자원 소모를 줄이고 원가가 낮아지면서 

물가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합니다.

 

-제 생각에는 우리나라는 특별히 저출산 및 인구 감소까지 겹쳐서 인플레이션을 넘어서 

 

"시간·비용 줄이자" 제약업계, AI 기업과 신약개발 활발

신약개발 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제약업계의 AI(인공지능) 도입이 활발하다. 삼진제약은 최근 AI 신약개발 기업 심플렉스와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하고, 심플렉스의 신약 후보 발굴 플랫폼 ‘CEEK-C

n.news.naver.com

-제 생각에는 우리나라는 특별히 저출산 및 인구 감소까지 겹쳐서 인플레이션을 넘어서 아예

디플레이션으로 갈 것 같습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